우선 Host의 Storage Adapters로 들어가 줍니다.
Targets Devices Path를 보면 경로를 다중화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Target : Host의 HBA 카드가 스토리지 노드의 HBA카드(컨트롤러)로 연결된 경로의 수
Devices : 기준이 되는 Host의 HBA 카드에서 접근 가능한 총 LUN의 갯수
Path : (스토리지 노드 1의 한 LUN에서 Host의 HBA 카로로 접근 가능한 경로의 수) X (한 노드의 LUN의 개수)
+ (스토리지 노드 2의 한 LUN에서 Host의 HBA 카로로 접근 가능한 경로의 수) X (한 노드의 LUN의 개수) +.......
스토리지 노드의 갯 수만큼 반복
이렇게 정의 내릴 수 있습니다.
위 그림은 예시로 vmhba2의 경우 HBA-1을 의미하며, vmhba4의 경우 HBA-2를 의미합니다.
vmhba2의 Targets(대상)은 HBA-1을 기준으로 스토리지 노드로 갈 수 있는 경로를 말하며 이경우 8이 됩니다.
vmhba2의 Devices는 HAB-1이 사용 가능한 LUN의 총개수를 의미하며 각 스토리지 노드에 18씩 2개의 스토리지에 존재하므로 36개가 됩니다.
vmhba2의 Paths(경로)는 Storage Node의 LUN 기준 HBA-1으로 갈 수 있는 경로의 개수의 총합을 의미합니다.
그러므로 Storage Node 1에서의 경로는 4x18=72
Storage Node 2에서의 경로는 4x18=72
최종적으로 vmhba2의 경로는 144가 되게 됩니다.
스토리지 어댑터의 경로 부분으로 들어가 줍니다.
C0:T0:L0라고 써져있는 것이 있는데
C = Channel을 의미하고
T = Target을 의미하며 이는 HBA카드 기준 연결 된 스토리지 노드를 의미하고
L = LUN을 의미하며,
만약 같은 같은 T(같은 스토리지 노드)에 LUN을 HBA에 연결한 경우 숫자가 바뀌게 됩니다.
위의 경우를 그림으로 나타낸 모습입니다.
위의 그림과 같이 한 스토리지 노드에 LUN이 3개가 존재를 하게 된다면 설정값은 위와 같이 설정이 된다.
'VMware > VMware 추가 서비스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st 호환성 검사방법 (0) | 2019.07.23 |
---|---|
vSphere EVC (1) | 2019.07.15 |
VMtools 설치법 (0) | 2019.07.12 |
vCenter 업데이트 및 (6.0 → 6.5) 버전 업그레이드 (0) | 2019.07.12 |
ESXi 업데이트 및 (5.x → 6.x) 버전 업그레이드, 드라이버 설치 (0) | 2019.07.12 |